자동차 정기검사란?
자동차 정기검사는 차량의 안전성과 배출가스 기준 준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국가에서 시행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 기준, 승용차는 등록 후 3년째 첫 검사, 이후에는 2년마다 정기검사를 받아야 하며, 차량의 노후도나 용도에 따라 1년 주기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검사 항목은 브레이크, 등화장치, 배출가스, 소음, 하체 부식 등으로, 안전과 환경 기준을 종합적으로 점검합니다. 검사를 제때 받지 않으면 과태료, 번호판 영치, 보험 처리 제한 등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기한 내에 받으셔야 합니다.
자동차 검사기간 확인 방법 (2025년 기준)
1. 문자 또는 카카오 알림
-
검사 만료 30일 전, 차량 소유자에게 문자 또는 카카오 알림이 자동 발송됩니다.
-
안내 메시지 내 링크를 클릭하면 검사 기간 조회 페이지로 바로 연결됩니다.
2. 차량등록증 확인
-
차량등록증 뒷면에 다음 정기검사 기한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
해당 내용을 촬영해두면 휴대폰에서 수시로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3. 자동차365 앱/웹 or TS 사이버검사소
-
자동차365 웹사이트 또는 앱(또는 TS 사이버검사소)에 접속 후 차량정보 등록
-
검사 유효기간, 검사 이력 등을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검사 예약 방법 안내
① 자동차365 앱/웹 이용 (위 링크 참조)
-
정기검사 예약 메뉴 선택 → 차량번호 입력 → 검사 종류·검사장·날짜 선택 → 예약 완료 (앱 기준)
-
정기검사·종합검사 모두 예약 가능
-
카드결제 지원, 예약 이력 조회 가능
② TS 사이버검사소 (공단 공식 사이트 - 하단이미지 참조)
-
공단 검사소뿐 아니라 민간 검사소까지 검색 및 예약 가능
-
비회원도 주민번호 앞 6자리와 차량번호만으로 예약 가능
③ 스마트 ARS (전화 예약)
-
지역별 검사소에 전화 → 차량번호 및 희망 일정 전달 → 예약 완료
-
스마트폰 없이도 간편하게 예약할 수 있어 인터넷 사용이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께 적합합니다.
④ 네이버·카카오 포털 예약
-
네이버·카카오에서 자동차 정기검사를 검색하면 지역 민간 검사소 리스트가 제공되며, 예약 페이지로 바로 연결됩니다.
-
일부 포털 예약 시 할인쿠폰, 포인트 적립 등 부가 혜택이 제공될 수 있습니다.
자동차 검사장 방문 준비물
항목 | 준비 내용 |
---|---|
신분증 | 운전면허증 또는 주민등록증 |
차량등록증 | 차량번호 및 검사 기한 확인용 |
검사비용 | 아래 정기·종합검사 수수료 참고 |
사전 점검 | 타이어 공기압, 브레이크, 등화류, 배출가스 상태 확인 |
결제 수단 | 카드 또는 현금 (검사소에 따라 상이) |
2025년 자동차 검사 비용 (정확 기준, VAT 포함)
정기검사 (승용차 기준)
-
경차: 17,000원
-
소형: 23,000원
-
중형: 26,500원
-
대형: 29,000원
종합검사 (부하 방식)
-
경차: 48,000원
-
소형: 54,000원
-
중형: 56,000원
-
대형: 65,000원
종합검사 (무부하 방식)
-
경차: 34,000원
-
소형: 39,000원
-
중형: 45,000원
-
대형: 49,000원
※ 지역, 검사소, 차량 연식에 따라 소폭 차이 발생 가능
✅ 요약 정리
검사 종류 | 경차 | 소형차 | 중형차 | 대형차 |
---|---|---|---|---|
정기검사 | 17,000 | 23,000 | 26,500 | 29,000 |
종합검사 (부하) | 48,000 | 54,000 | 56,000 | 65,000 |
종합검사 (무부하) | 34,000 | 39,000 | 45,000 | 49,000 |
자동차 검사 미이행 시 불이익
-
30일 이내 지연 시: 과태료 4만 원
-
31일 초과 시: 3일당 2만 원씩 가산, 최대 60만 원
-
검사 미이행 상태에서 사고 발생 시: 보험 처리 제한
-
1년 이상 미이행 시: 차량 번호판 영치, 운행 정지, 벌금 및 형사처벌 가능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자동차 검사 기한을 넘겼는데 예약 가능한가요?
A. 네, 가능합니다. 다만 지연 과태료가 즉시 부과되므로 빠른 예약이 필요합니다.Q2. 예약 취소는 어떻게 하나요?
A. 자동차365 또는 사이버검사소 웹/앱에서 예약 내역 메뉴 통해 직접 취소 가능합니다.Q3. 수입차도 검사 대상인가요?
A. 네, 국내 등록된 모든 차량은 검사 대상입니다. 수입차량은 등록증 외 수입증명서도 함께 준비해 주세요.Q4. 자동차 검사 항목은 어떻게 되나요?
A. 브레이크·등화·배출가스·소음·하체 등 차량 전반의 안전성 및 환경 기준 항목입니다.결론: 지금 바로 예약하고 안심 운행을 준비하세요
자동차 검사는 내 차의 안전성과 신뢰성, 나아가 타인의 생명까지 보호하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검사기간 조회는 정부24, 이파인, 자동차365, 등록증 등 다양한 경로로 가능하며, 검사 예약은 자동차365 앱, TS 사이버검사소, 포털 예약, ARS 전화 예약 등 원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처리하실 수 있습니다.
검사를 미루다 과태료와 벌점까지 얻게 되면, 단순한 불편을 넘어 불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0 댓글
자유롭게 질문해주세요. 단, 광고성 댓글 및 비방은 사전 통보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