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 사실조사는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닌, 복지 정책, 의료, 교육 서비스 제공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조사입니다. 특히 주소지와 실제 거주지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행정 서비스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 기간 안내
-
비대면 조사: 2025년 7월 21일(월) ~ 8월 31일(일)
-
대면 방문 조사: 2025년 9월 1일(월) ~ 10월 23일(목)
비대면 신청방법 – 정부24+ 앱 이용
올해는 정부24 앱이 개편되어 사용자가 더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참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스마트폰에서 정부24+ 앱 실행
-
메인 화면의 주민등록 사실조사 배너 클릭
-
위치(GPS) 인증으로 실거주지 확인
-
모바일 신분증 또는 공동/간편 인증으로 본인 확인
-
한 세대 당 1명이 대표로 전체 가족 정보 입력
대면 조사 대상자는 누구?
비대면 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세대 또는 다음과 같은 중점조사 대상 세대는 반드시 공무원 또는 이·통장이 직접 방문하여 대면 확인을 진행합니다:
-
100세 이상 고령자
-
5년 이상 장기 거주불명자
-
사망 의심자
-
복지 사각지대에 속한 취약계층
-
장기 결석 또는 미취학 아동을 둔 가구
미참여 시 과태료는 얼마?
가장 궁금해하시는 부분 중 하나죠. “참여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50만 원?”이라는 정보는 과장된 내용입니다.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만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고의로 사실조사를 거부하거나,
- 반복적으로 응하지 않거나,
- 허위 사실을 제출한 경우,
- 주민등록 사항(주소 이전 등)을 정당한 사유 없이 신고하지 않은 경우
이 경우, 최대 5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진신고 시 최대 80%까지 감면 받을 수 있습니다.
📌 과태료 감면 신청 기한: 2025년 11월 20일까지
이사 후 전입신고를 잊으신 분은 이번 기회에 꼭 신고하시길 바랍니다!
주민등록 사실조사 후 행정 처리
조사 결과 실제 거주지와 등록지가 다를 경우, 10월 24일부터 11월 20일까지 최고·공고 절차가 진행되며, 이후에는 직권조치가 시행됩니다. 이 시기 안에 주소를 바로잡지 않으면 행정상 불이익이 생길 수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주민등록 사실조사 핵심 요약
항목 | 내용 |
---|---|
비대면 기간 | 2025.07.21 ~ 2025.08.31 |
대면 방문조사 | 2025.09.01 ~ 2025.10.23 |
비대면 신청 | 정부24+ 앱, 위치 인증 및 본인 인증 |
세대별 응답 방식 | 1명이 가족 전체 대표 응답 가능 |
과태료 기준 | 고의 불응 시 최대 50만 원 / 자진신고 시 감면 가능 |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A)
Q1. 주민등록 사실조사에 꼭 참여해야 하나요?
A. 네,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매년 실시되는 전국 단위 전수조사입니다. 참여는 의무이며, 주소지와 실제 거주지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매우 중요한 절차입니다.
Q2. 비대면 조사는 누가 할 수 있나요?
A. 정부24+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보유한 성인이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세대별 1명이 대표로 가족 전체 정보를 입력할 수 있어, 가족 모두가 따로 할 필요는 없습니다.
Q3. 비대면 신청은 집에서만 가능한가요?
결론: 지금 바로 정부24+ 앱으로 신청하세요
✅함께 보면 좋은 정보
우리카드 민생지원금 신청 후기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한카드로 신청 후기
민생회복 소비쿠폰 올리브영 및 다이소 사용가능 매장 확인방법
민생회복 소비쿠폰 이의신청 방법 및 대상 총정리 2025
0 댓글
자유롭게 질문해주세요. 단, 광고성 댓글 및 비방은 사전 통보없이 삭제됩니다.